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금연하는 방법과, 금연으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변화

카테고리 없음

by 눈탱방구 2022. 8. 24. 09:54

본문



담배 라는 단어를 들으면 생각나는 것은 무엇입니까? 바로 건강과
바로 연결되어있는 몸에 해로운 것이라는 생각을 아마 제일 먼저 
하게 되실 텐데요. 어린아이들도 담배가 몸에 좋지 않다는 사실은
이미 다 아는 사실일 것입니다. 그렇지만 한 번 흡연했었던
사람이라면 담배를 끊는 것이 얼마나 어려운 일인지 아실 것 입니다.
그 만큼 한번 시작하면 쉽게 끊을 수 없는 것이 바로 담배입니다. 
담배는 사람의 모든 신체구조에 해로운 영향을 줍니다. 흡연하고
있으신 분들도 아시는 내용이지만, 금연을 해야겠다는 생각은 해보았을
뿐 실행으로 옮기기는 쉽지가 않습니다. 또 금연을 하기 위한 방법을
잘 모르시는 경우도 있습니다. 흡연자가 금연자가 되었을 때 본인의
신체에 나타나는 변화들에 대해 알아보신다면 금연을 하는데 도움이
될 수 있을 것 같아, 금연 시 본인의 몸에 일어나는 변화에 대해 
이야기를 해보려고 합니다. 흡연하는 사람은 혈관이 수축되어
있는 상태입니다. 흡연자들은 대부분 손과 발이 차가운 사람들이 
많이 있습니다. 이는 혈액순환이 제대로 안 되고 있다는 것을 의미합니다.
흡연으로 인해 혈관이 수축되어 있기 때문에 혈액이 제대로 순환하는
것을 방해하여 혈액순환에 악영향을 미치는 것입니다. 금연하자마자
제일 먼저 나타나는 신체의 변화는 바로 혈액순환이라고 할 수 있습니다.


담배를 피운 지 3시간 이상만 되어도 사람의 몸은 제대로 된 혈액순환을
하기 시작합니다. 그렇지만, 담배를 피우는 주기가 3시간 안 쪽이라면
그 사람은 계속 혈액순환이 잘 안 되고 있다는 뜻이기도 합니다. 또
흡연자는 담배연기로 인해 일산화탄소가 몸속에 가득 차있습니다. 
일산화탄소는 산소의 농도를 낮게 해주는 원인이기도 합니다. 그래서 
길가다가 담배냄새를 갑자기 맡게 되면 두통이 오는 경우도 저산소증
때문에 그런 것입니다. 금연을 시작한 지 12 시간이상 지난다면 
몸속에 자리 잡고 있는 일산화탄소들이 점점 사라지면서 일산화탄소의
수치가 떨어지는 것을 볼 수 있습니다. 이로인해 산소량에도 변화가
찾아오는 것입니다. 흡연을 하는 사람들에게 나타나는 저산소증은
향 후 심장질환에도 영향을 미칠 수 있고 당뇨병이나 뇌졸중 등 심각한
질병에 노출될 확률이 높기 때문에 금연을 해야 하는 이유라고 볼 
수 있는 것입니다. 또 흡연자 중에서는 가파른 길을 올라가기 힘들어
하는 경우가 있고 등산을 할 때에도 흡연자를 알아볼 수 있을 정도로
폐활량이 떨어지는 사람들이 많이 있습니다. 금연한 뒤 10일 이후가
되면 몸속에 쌓여있던 니코틴의 수치가 정상적으로 돌아오면서 니코틴
중독 시 나타나는 증상들이 점차 사라지게 됩니다. 그 이후 폐도 
재기능을 찾아가면서 금연 초반에는 가래와 기침이 나올 수 있지만, 
점차 안정적인 호흡으로 돌아올 수 있는 것입니다. 금연을 하는데
왜 안 좋은 기침과 가래가 나오는지 의아해 하실 수 있지만, 흡연 시
폐 속으로 쌓여있었던 가래가 폐기능이 회복되면서 나타나는 증상이기 
때문에 금연 시 일어날 수 있는 정상적인 반응이라고 할 수 있습니다. 

 


이후 폐 기능도 좋아지게 되며, 흡연하던 시기에 다니던 등산과 
가파른 길을 이전보다 힘들지 않게 다닐 수 있다는 점이 눈에 띄게
보일 수 있습니다. 금연을 시작한 지 한 달이 지나면 폐의 기능은
30% 이상으로 회복하고 6개월이 지나면 비로소 흡연을 하지 
않은 사람의 폐로 지속적으로 변화를 하고 있으며 숨을 쉬는게
편안하다는, 저절로 숨이 쉬어진다는 느낌을 받으실 수 있을 것 
입니다. 또 금연한지 10년이 되면 흡연으로 인해 폐에 질환이 생길
수 있었던 확률이 높아져 있었다면, 이제는 비흡연자와 비슷한 폐상태로
돌아갔기 때문에 폐에 질환이 생길 수 있는 확률은 확실히 낮아졌다고
볼 수 있는 것입니다. 혼자서 금연을 시작하시는 게 자신이 없으신
경우 현재 흡연하고 있는 지인과 약속을 하시고 함께 시너지효과를
주며 실천해보시는 것도 좋겠습니다. 보건소를 방문해 금연패치를
받을 수 있고, 금연초와 금연껌 등 다양하게 도움을 받으실 수 있으니
금연에 도전해보시기 바랍니다.본인의 건강과 가족의 건강을 위해
이번에는 꼭 성공하시길 바라며, 긴 글 읽어주셔서 감사합니다.